/pub/linux/centos/5.2/os/i386
useradd 만들id
(-D옵션을 통해 루트 디렉토리를 정할 수 있다)
passwd 만들id
groupadd 그룹이름
- apache 2.2.11
다운로드 : http://httpd.apache.org/ - php 5.2.9
다운로드 : http://php.net/ - mysql 5.0.77
다운로드 : http://mysql.com/ mysql-5.0.77-linux-i686-icc-glibc23.tar.gz
단, mysql은 성능 향상을 위해서 직접 컴파일 하지 않고 Intel C/C++ compiled 를 사용하였습니다. - Zend Optimizer 3.3.3
다운로드 : http://zend.com - xCache 1.2.2 (공식사이트 적용 결과 eAccelerator로 채택)
다운로드 : http://xcache.lighttpd.net/ - eAccelerator 0.9.5.3
다운로드 : http://bart.eaccelerator.net/source/0.9.5.3/
MySQL 5.0.77 설치
- 다운 받은 mysql-5.0.77-linux-i686-icc-glibc23.tar.gz 를 /usr/local/msyql-5.0.77-linux-i686-icc-glibc23.tar.gz 로 복사합니다.
파일 이름은 버전, glibc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bin/cp msyql-5.0.77-linux-i686-icc-glibc23.tar.gz /usr/local - /usr/local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 /usr/local - 압축 해제를 합니다.
tar xvfz msyql-5.0.77-linux-i686-icc-glibc23.tar.gz - mysql 버전 업그레이드시마다 디렉토리 명을 재지정하지 않기 위해 심볼릭 링크를 겁니다.
ln -s msyql-5.0.77-linux-i686-icc-glibc23 mysql
위와 같이 하면 차후부터 /usr/local/mysql 을 mysql의 경로로 지정하면 됩니다.
다만 /usr/local/mysql/data 디렉토리의 경우 잘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 mysql에서 권장하는 데로 mysql 계정과 그룹을 생성하여 줍니다.
groupadd mysql
useradd -g mysql mysql - mysql디렉토리에 권한을 부여합니다.
cd /usr/local/mysql
chown -R mysql .
chgrp -R mysql . - DB 인스톨을 합니다. (Intel C/C++ 컴파일 버전은 따로 컴파일 할 필요 없이 DB 생성을 하면 됩니다.
./scripts/mysql_install_db --user=mysql
chown -R root .
chown -R mysql data - mysql 대몬을 시작합니다.
./bin/mysqld_safe --user=mysql & - 새롭게 MySQL을 설치한 경우 MySQL ROOT 비밀번호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비밀번호'
이제 mysql 설치는 끝났고 /usr/local/mysql/bin/mysql -u root -p 명령을 통해서 root 계정으로 접속 테스트를 하면 됩니다.
*주의: XE를 설치하기전에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mysql 을 시작할 수 없다.
mysql 이 시작되지 않으면 다시 설치하여야 한다.
Error
Apache, PHP 컴파일 설치
PHP는 Apache의 모듈로 탑재되어 동작을 하기에 Apache과 PHP는 같이 설치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기 사용된 Apache, PHP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Apache : httpd-2.2.11.tar.gz
- PHP : php-5.2.9.tar
프로그램 버전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만 각 압축을 해제한 파일을 아래와 같은 위치에 두도록 합니다.
- Apache : /root/httpd
- PHP : /root/php
아래와 같은 순서로 컴파일 하시면 됩니다.
- 아파치
[root@localhost apache]#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so --enable-modules=so --with-mpm=worker --enable-rewrite
[root@localhost apache]# make
[root@localhost apache]# make install
다양한 옵션을 줄 수 있지만 최소한의 설치만을 위해서 위와 같이 enable so, enable rewrite 만 옵션으로 두고 컴파일을 합니다.
설치되는 경로는 /usr/local/apache 로 합니다.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위의 명령으로 웹서버를 실행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noacceptable C compiler found in $PATH 에러가 나오는 경우
- PHP
PHP의 경우 다양한 연동 프로그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XE에서 썸네일을 만들기 위해 GD Library가 필요하기도 하고 png, gif등을 다루기 위한 라이브러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소개하고 있는 CentOS에서는 yum을 이용하여 관련 라이브러리들을 먼저 설치할 수 있고 다른 리눅스 OS도 비슷한 라이브러리 설치 도구를 제공할 것입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CentOS)
yum -y install libxml2 libjpeg libpng freetype - PHP 컴파일
에러 나는 경우
펼쳐두기..
# tar xvfj php-5.2.9.tar.bz2
# mv php-5.2.9 /root/php
# cd /root/php
# ./configure --prefix=/usr/local/php --with-apxs2=/usr/local/apache/bin/apxs --with-mysql=/usr/local/mysql --enable-magic-quotes --disable-dmalloc --enable-bcmath --enable-gd-native-ttf --enable-sysvsem --enable-sysvshm --enable-inline-optimization --enable-mbstring --enable-mbregex --enable-gd-native-ttf --enable-ftp --with-jpeg-dir --with-freetype-dir --with-curl --with-zlib --with-gd --with-ttf --with-iconv --disable-debug
make
make install - PHP의 make install 시에 libmysqlclient.so.15 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나오면 다음과 같이 해당 파일을 symbolic link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ln -s /usr/local/mysql/lib/libmysqlclient.so.15.0.0 /usr/lib/libmysqlclient.so.15
다시 make install 하면 됩니다. - php.ini 파일 복사/ 설정
php 구동시 기본 설정을 읽는 php.ini 파일을 여기서는 /usr/local/php/lib/php.ini로 복사 합니다.
cp php.ini-dist /usr/local/php/lib/php.ini
위 파일을 열고 아래 부분을 수정합니다.
register_globals = Off
post_max_size = 200M
file_uploads = On
upload_tmp_dir = /tmp
uplaod_max_filesize = 200M
allow_url_fopen = Off
allow_url_include = Off
위의 설정중 이미 동일하게 설정된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post_max_size는 post되는 정보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이고 upload_max_filesize는 업로드 가능한 최고용량이니 서비스에 맞게 적절히 수정하시면 됩니다.
-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CentOS)
- Zend Optimizer 설치
PHP의 기본 상태로 사용시 성능이 매우 저조한데 이를 위해 Zend Optimizer를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Zend Optimizer 압축 해제후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자동으로 설치 됩니다.
./install
위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설치 스크립트가 자동으로 위치를 읽어서 진행을 하게 됩니다.
Zend Optimizer를 설치하면 /etc/php.ini 는 /usr/local/Zend/etc/php.ini 로 대체됩니다.
관련문서1 관련문서2 - Apache에 PHP 설정하기
아파치 설정파일에 PHP 실행을 연동하기 위한 설정을 합니다.
/usr/local/apache/conf/httpd.conf 파일을 열어서 아래와 같은 부분을 변경합니다.
LoadModule php5_module modules/libphp5.so
<IfModule dir_module>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php
</IfModule>
<IfModule mime_module>
...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
</ifModule> - xCache 연동 (eAccelerator로 대체)
- eAccelerator 설치
bash: phpize: command not found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 다음과 같이 설치하시면 됩니다.# tar xvfj eaccelerator-0.9.5.3.tar.bz2
# cd eaccelerator-0.9.5.3
# ./configure --enable-eaccelerator=shared --with-php-config=/usr/local/php/bin/php-config
# make && make install
그리고 /usr/local/Zend/etc/php.ini 파일을 열어서 Zend Optimizer 문 위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입력하세요.
zend_extension_ts="/usr/local/php/lib/php/extensions/no-debug-zts-20060613/eaccelerator.so"
eaccelerator.shm_size="16"
eaccelerator.cache_dir="/var/cache/eaccelerator"
eaccelerator.enable="1"
eaccelerator.optimizer="1"
eaccelerator.check_mtime="1"
eaccelerator.debug="0"
eaccelerator.filter=""
eaccelerator.shm_max="0"
eaccelerator.shm_ttl="0"
eaccelerator.shm_prune_period="0"
eaccelerator.shm_only="0"
eaccelerator.compress="1"
eaccelerator.compress_level="9"
eaccelerator.log_file="/var/log/eaccelerator.log"
* /var/cache/eaccelerator 디렉토리를 생성하셔야 합니다.
# mkdir /var/cache/eaccelerator
# chown nobody /var/cache/eaccelerator
# chmod 700 /var/cache/eaccelerator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다면 위와 같이 eAccelerator, Zend Optimizer 둘다 보여야 합니다.
mysql 시작
/usr/local/mysql/bin/mysqld --user=mysql &
아파치 시작
/usr/local/apache/bin/apachectl restart
/usr/local/Zend/etc/php.ini
/usr/local/apache/htdocs
/usr/local/apache/conf/httpd.conf
/usr/lib/php/modules/eaccelerator.so
/etc/vsftpd/vsftpd.conf
펼쳐두기..
#vi /usr/local/apache/htdocs/conf/httpd.conf
#URL Rewrite 설정
<Directory "/usr/local/apache/htdocs">
...
AllowOverride All
...
</Directory>
비어있는 디렉토리 접근 불가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 Options FollowSymLinks
ssh 설정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yes -> PermitRootLogin no
/* vsftpd 설정 */
/etc/vsftpd/vsftpd.conf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anonymous_enable=NO
#vi /etc/vsftpd/chroot_list
덕분에 알고 싶었던것을 알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답글삭제조금 초보적인 질문이 있는데요.
1.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지 않는 최고사양 데스크탑이 있는데요. 리눅스 센토스를 깔려고 하면 윈도우는 어떻게 삭제하나요?
2. 리눅스가 설치가 되면, 자신의 도메인으로 무료로 네임서버가 되고, 연결이 가능한지요?
답변을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호스팅만 이용하다 보니
직접 한번 해보고 싶더라구요.
좋은 정보 얻으러 자주 들러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YZEN - 2009/11/19 23:23
답글삭제위 내용은 제가 직접 작성한 것이 아니라, XE메뉴얼에서 퍼온후, 안되는 부분들을 일부 수정한 것입니다.
1. 서버용으로 리눅스를 사용하시려고 하는 것 같은데 이럴경우 펜티엄3, 메모리 1G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아톰330, 2G썼고, 방문자수가 수천명이라면 더 좋은 걸로 해야겠지요?)
그리고 ftp://ftp.sayclub.com/pub/Linux/centos/5.4/isos/i386/
에서 CentOS-5.4-i386-netinstall.iso 부팅용 8메가 짜리 이미지를 받아서 RW미디어에 굽고, FTP주소를 입력해서 설치했습니다.
ftp://ftp.sayclub.com
pub/Linux/centos/5.4/os/i386
2. 네 연결 가능합니다. 저 같은경우 http://wo.tc 에서 무료도메인 받아서 연결했습니다.
끝으로,, 위 본문의 방법들은 직접 컴파일 하는 것으로써 매우 비효율 적입니다 -_-;; 한 아얄씨 linux,ubuntu 채널에 오시면 많은 도움 되실듯...
trackback from: XE 쉬운설치
답글삭제XE Core v1.3.0 로 업그레이드 된 후 부터 XE 공식사이트에 가서 모듈이나 새로운 XE를 다운 받아 설치하시는 것이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v1.3.0 버전부터는 XE가 쉬운 설치를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XE 관리자 화면에서 클릭 몇 번이면 XE를 업데이트 하실 수 있습니다. Download 섹션에서 제공하는 모든 모듈이나 스킨들 역시 다운로드나 업로드의 귀찮은 과정 없이 XE 관리자 화면에서 바로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쉬운 설치..
httpd.conf 파일 열어 로그 파일 주석 처리
답글삭제CustomLog "logs/access_log" common
가상 호스팅 Apache 설정
# wget http://stderr.net/apache/rpaf/download/mod_rpaf-0.6.tar.gz
# yum install httpd-devel
# apxs -i -c -n mod_rpaf-2.0.so mod_rpaf-2.0.c